도덕․ 윤리과 임용 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기출 문제를 깊이 있게 살펴
보아야만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출 문제 분석을 통해 출제 경향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임용
시험에는 일정한 방향성이 있으며, 그러한 방향성은 기출 문제를 통해 드러난
다. 그러므로 기출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임용 시험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임용 시험 준비를 위한 올바르고 효율적인 방법을 발견할
수 있다.
둘째, 기출 문제 분석은 이론 총정리를 위한 기회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기
출 문제에는 출제 가능성이 높은 주요 개념들과 그것들의 정의, 그리고 중요
한 이론들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기출 문제를 제대로 분석하기만 하면 우
리는 상당한 양의 주요 개념들과 이론들에 대한 명확하고 체계적인 이해를 얻
을 수 있다.
셋째, 이전 문제들이 다소간의 변형을 거쳐 반복 출제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출 문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출제 예상 문제를 추론해 볼 수 있다.
요컨대 출제 경향을 파악하고, 이론을 정리하며, 예상 문제를 추론해 보는
것이 기출 문제를 분석하는 이유이자 목표이다. 필자는 수험생들이 이와 같은
목표에 좀 더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이 책을 다음
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수험생들이 가능한 한 많은 문제를 접할 수 있도록 지난 18년간 기출
문제를 거의 대부분 수록하였다.
둘째, 출제 지문에 등장하는 주요 개념을 강조하여 수험생들이 주요 개념과
용어 및 개념의 의미를 좀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수험생들이 기출 문제로부터 예상 문제를 도출하고, 기출 문제를 보
다 폭넓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출제 지문의 출처와 관련 이
론을 밝혔다.
넷째, 수험생들이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숙지할 수 있도록 동일 이론
이 적용된 문제들을 출제 연도와 관계없이 하나의 범주로 묶어 제시하였고,
문제에 적용된 이론을 상세히 수록하였다.
임용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여러 필수적인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하는
데, 기출 문제 분석은 그러한 조건들 중 하나이다. 따라서 합격을 원한다면 힘
들더라도 반드시 기출 문제를 분석하여 정리하고 숙지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
다. 필자는 이 책이 기출 문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수험생들이 겪게 될 어려
움을 조금이나 덜어 주는 좋은 수단이 되기를 희망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출판에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저자 김병찬
제1편 서양윤리 13
제1부 서양 고대 윤리 사상· 15
제1장 플라톤· 16
제2장 아리스토텔레스· 28
제3장 헬레니즘 시대의 윤리 사상 50
제2부 서양 중세 윤리 사상· 65
제2부 서양 중세 윤리 사상 66
제3부 서양 근대 윤리 사상· 79
제1장 데이비드 흄 80
제2장 스피노자· 82
제3장 임마누엘 칸트 90
제4장 고전 공리주의:벤담과 밀· 115
제5장 헤겔 131
제6장 기타 133
제4부 서양 현대 윤리 사상 137
제1장 생철학의 윤리:쇼펜하우어, 니체 138
제2장 실존주의의 윤리:키에르케고르, 하이데거, 야스퍼스, 사르트르· 142
제3장 현상학적 윤리학:맑스 셸러 149
제4장 실용주의 윤리:존 듀이· 155
제5장 메타윤리학 160
제5부 윤리학적 입장의 종류· 165
제1장 윤리적 상대주의· 166
제2장 윤리적 이기주의· 170
제3장 윤리적 쾌락주의· 173
제4장 공리주의· 177
제5장 의무주의· 184
제6장 덕 윤리학· 185
제2편 동양 윤리 사상 195
제1부 유가의 윤리 사상 197
제1장 공자 198
제2장 맹자 199
제3장 순자 207
제4장 주희 217
제5장 왕수인· 236
제2부 도가의 윤리 사상 247
제1장 노자 248
제2장 장자 254
제3부 양주․ 묵자․ 한비자의 윤리 사상· 273
제3부 양주․ 묵자․ 한비자의 윤리 사상· 274
제4부 불교의 윤리 사상 297
제1장 근본불교· 298
제2장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특징 308
제3장 인도의 불교 사상:중관파와 유식파 313
제4장 중국의 불교 사상:천태종, 화엄종, 선종 315
제3편 한국 윤리 사상 329
제1부 유가의 윤리 사상 331
제1장 이황 332
제2장 이이 337
제3장 정약용· 355
제2부 불교의 윤리 사상 367
제1장 원효 368
제2장 의천 376
제3장 지눌 379
제3부 한국 전통 사상· 389
제3부 한국 전통 사상· 390
제4편 정치 ․ 사회 사상 401
제1부 주요 정치 사상가들 403
제1장 플라톤· 404
제2장 아리스토텔레스· 405
제3장 마키아벨리 407
제4장 토마스 홉스 409
제5장 존 로크· 414
제6장 쟝 자크 루소 423
제7장 알렉시 드 토크빌· 436
제8장 존 스튜어트 밀· 439
제9장 요세프 슘페터 443
제10장 존 롤스· 445
제11장 존 자본주의의 형성과 전개· 466
제12장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470
제13장 로버트 노직 474
제14장 공동체주의 479
제15장 막스 베버· 496
제16장 위르겐 하버마스· 499
제17장 칼 포퍼· 504
제2부 주요 정치 이데올로기· 509
제1장 민주주의/자유주의 510
제2장 공화주의· 536
제3장 보수주의· 548
제4장 사회주의· 550
제5장 기타 552
제5편 통일교육론 557
제1장 북한 이해 방법론과 통일 교육 접근법 558
제2장 국제 관계 이론과 남북한 통합론· 565
제3장 통일의 필요성 576
제4장 남북한 통일 방안· 586
제5장 북한 사회의 이해· 611
제6장 기타 627
제6편 응용윤리 629
제1부 응용윤리의 방법 631
제1부 응용윤리의 방법· 632
제2부 환경윤리 637
제1장 인간 중심주의 환경윤리· 638
제2장 개체론적 환경윤리 642
제3장 생태 중심주의 환경윤리· 652
제4장 한스 요나스의 책임윤리· 660
제3부 생명윤리 665
제3부 생명윤리· 666
제7편 교과교육론 675
제1부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론 677
제1장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678
제2장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밴두라의 사회학습이론 680
제3장 피아제의 인지발달론 689
제4장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695
제5장 레스트의 4구성 요소 모형 이론 703
제6장 나바에츠의 통합적 윤리 교육 모형· 711
제7장 튜리엘의 사회영역이론· 715
제8장 여성주의 접근법:길리건과 나딩스· 726
제9장 피터스의 도덕성 발달 이론 739
제10장 호프만의 공감 이론 741
제11장 구성주의 도덕교육론 748
제12장 인격교육론 751
제13장 리코나의 통합적 인격교육론 755
제14장 덕 교육론· 765
제15장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 770
제16장 뒤르켐의 도덕사회화론· 772
제17장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 이론 781
제18장 사회 정서 학습 788
제19장 윌슨의 도덕성 요소 이론· 790
제20장 콜즈의 도덕적 지능 이론· 793
제21장 커센바움의 포괄적 가치교육론 794
제22장 기타 800
제2부 교수․ 학습 방법· 811
제1장 협동학습· 812
제2장 역할채택과 역할놀이 818
제3장 도덕 딜레마 토론 수업 모형 823
제4장 가치명료화 수업 모형 829
제5장 이론적 근거 정립 모형 842
제6장 가치 갈등 수업 모형 844
제7장 가치 분석 수업 모형 845
제8장 내러티브와 도덕이야기 수업 모형· 857
제9장 봉사활동학습 859
제10장 사회 행위 모형 860
제11장 기타 862
제3부 평가· 867
제3부 평가 868
제4부 교육과정 885
제4부 교육과정· 886
제8편 논술 915
제1장 2009년 논술 기출 문제· 916
제2장 2010년 논술 기출 문제· 927
제3장 2011년 논술 기출 문제· 937
제4장 2012년 논술 기출 문제· 949
제5장 2013년 논술 기출 문제· 962
제6장 2014년 논술 기출 문제· 972
제7장 2015년 논술 기출 문제· 976
제8장 2016년 논술 기출 문제· 980
제9장 2017년 논술 기출 문제· 982
제10장 2018년 논술 기출 문제· 984
제11장 2019년 논술 기출 문제· 986